5~6세의 레슨은 노래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.
손가락이 여무는 만7세 이상이 되고,
악보를 어느정도 읽을 수 있게 되면,
모델 연주가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합니다.
이 시기에는
교사의 음악적이고 완성도 높은 시범연주가 매우 중요합니다.
만10세부터 아이들의 마음과 정신은 다른 모습으로 바뀝니다.
사춘기라고 부르는 그 시기인데요.
이 때부터는 모델 연주의 비중을 낮추어 가야 됩니다.
모방보다는 이해력을 높여가도록 하는 거지요.
악보의 이해도 이 시기에 와서야 온전하게 이루어집니다.
이 때는 악보를 체계적으로 설명해 주세요.
악보란 것 자체가 몇백년 동안 연구하여 고안되어진 것이므로,
악보 자체를 깊이있게 읽어냄으로써 얻어지는 것이 굉장히 많습니다.
리듬체계, 선율의 윤곽, 아티큘레이션, 프레이즈 등등을 읽어낼 수 있도록
되어야 합니다.
중3 쯤이 되는 만15세가 되면,
성인과 같은 정신적인 특성을 갖추게 되는데요.
이 때 부터는 스스로 생각하고 기획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.
이 때의 교사는 마치 토론 상대같은 태도가 되어야 겠지요.
스스로 생각하도록 힌트를 주고,
전해오는 이론들을 실제에 적용할 방법을 찾아내게 해야 합니다.
때로는 학생의 새로운 발상에 교사가 감탄하기도 합니다.
이 때의 선생은 절대적인 존재가 아니라, 조력자가 되는 것입니다.
자립할 수 있는 근기를 마련해 주어야 겠지요.
이렇게되어야만 대학에 가서 하는 화성학이니 악식론등의
여러가지 이론 공부를 소화해서
스스로 피아노연주에 적용할 수가 있습니다.
이런 것이 대학 공부의 참다운 모습입니다.
우리 사회는 입시라는 것 때문에
고3은 물론 대학 졸업자까지
젖꼭지를 물고있는 셈입니다.
'RESEARCH > 교수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마데우스로 학습한 경우의 애로점 (0) | 2004.01.09 |
---|---|
모방과 청음은 가락으로 (0) | 2003.09.23 |
박자표 읽기 (0) | 2003.07.10 |
레슨의 기본적인 3항목 (0) | 2003.03.17 |
각수준에서의 성취목표 (0) | 2002.09.28 |